안녕하세요!
준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말한 대로 투자 방식 중에 모멘텀 투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제가 하려고 하고 오늘 설명하려는 방식은 아주 조금 더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조던식 모멘텀 투자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조던은 우리가 아는 농구황제 마이클 조던님이 아니시고요.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무너졌던 주식 세계에 떠오르는 분이십니다.
길게 말할 거 없고 바로 알아보시죠 :)
1. 투자 마인드
저는 이 방법을 선택한 이유는 조던님의 투자 마인드가 너무 저랑 맞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선 이 투자가 단기적인 수익을 위함이 아닌 퇴직연금 개념으로 다가갈 생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의 평생 보고 간다는 생각으로 할 생각입니다.
감사하게도, 인내심은 또 상당히 좋아서 어차피 우상향 하는 주식시장에서 당연히 위너가 될 거라 생각하는 주의라고 할까요?
아직 많지 않은 나이이기 때문에 복리의 효과는 탁월하리라 생각하는 긍정주의자입니다.
또한 조던님의 중요한 투자마인드 중 하나는 아주 안전위주의 투자 마인드이십니다.
잃는 타이밍을 알고 그 징조가 보이면 바로 빼서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주의입니다.
이는 아래에 2. 투자방식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결과적으로, 메인 포인트는 조던님이 만드신 "조던 룰"에 입각하여 손해 최소화와 안정적인 수익 창조가 메인 투자 마인드이십니다.
2. 투자방식
조던님의 투자 방식은 아주 심플합니다.
이 투자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선 몇 가지를 기본으로 알고 계셔야 합니다.
1. 주식은 무조건 미국 1등 주식.
(1등 주식이라 함은 시가총액 1등을 말합니다. )
2. 기본 지표는 미국 나스닥입니다.
3. -3% 룰 (마삼룰)이라는 룰을 아셔야 합니다.
(나스닥 수치가 -3%가 뜬다면, 전량 매도하는 룰)
4. -3%가 뜬다면, 전량 매도 후 마지막 -3%를 기준으로 한 달 하고 1일 뒤에 다시 매수합니다.
그리고 다시 1등 주식 매수.
5. 공황은 한 달 내 -3%가 4번 이상 나올 시 시작됨. 다음 매수까지 2달 하고 +1일을 기다립니다.
(쉽게 말해, 공황은 주식 시장이 와르르 무너지는 시기)
6. 공황이 끝나는 기준은 세 가지 중에 하나.
- 나스닥이 전고점을 뚫을 경우
- 마지막 -3% 이후 2달 동안 다시 -3%가 안 뜨는 경우
- 8 거래일이 연속 상승하는 경우
아주 간략히 설명하면 이 정도입니다.
물론 디테일적으로 설명하자면, 아주 깊이 들어가긴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공부하시면 저 같은 주린이가 충분히 이해가 될 만큼 상당히 단도직입적입니다.
기본적인 시나리오는 이렇습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를 이용해서 설명해드려 볼게요.
우선 인베스팅 닷컴을 기준으로 3월 4일에 -3.1%가 떴습니다.
만약 투자를 하고 계셨다면, 이때 이미 전량 매도를 하셨어야겠죠?
원래대로라면, 3월 4일에 전량 매도하고 한 달 +1일인 4월 4일에 사야 맞습니다.
하지만 같은 달, 9일, 11일, 12일, 16일, 18일, 20일, 27일까지, 총 8번의 -3% 이상의 수치가 나왔습니다.
이미 3월은 4번이 아닌 2배 이상의 8번이 떴으니 이 시기를 공황이라 칭하고요.
전량 매도와 기다림을 통해 투자의 손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택하게 되는 거죠.
이 때는 3월 4일에 이미 전량 매도한 상태여야 하고 현금을 손에 쥐고 있으면서 사리는 게 방법입니다.
그 이후 가끔 -3%가 떴지만, 마지막으로 5월 1일에 한번 더 -3%가 뜨면서 또다시 2달을 기다리게 되는 거죠.
즉, 7월 2일에 첫 매수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전에 8 거래일 연속으로 +수치가 나왔거나, 나스닥이 전고점을 돌파했다면,
다시 전량 매수가 맞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은 2차 확산이 걱정이기에 사람들마다 다른 스탠스를 취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시기에 맞게 들어갑니다.
3. 장단점
장단점은 아주 명확합니다.
장점
- 이런 공황의 상황이 올 때, 손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 주린이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단, 인내심이 동반된다는 하에서요.)
- 길게 보면, 수익이 안 날 수 없는 구조입니다.
- 주식을 넣고 빼는 타이밍이 너무 명확합니다.
단점
- 데드 캣 바운스 혹은 V자 곡선을 그릴 때 수익을 많이 얻지 못할 확률이 높습니다.
- 인내심이 장점이 아니시라면, 손해를 볼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 단타형 수익을 내기엔 적합하지 않아 보입니다.
4. 나의 스탠스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잡히셨다면 아시겠지만, 트레이더분들처럼 단기에 치고 빠지는 스타일이 전혀 아닙니다.
오히려, 너무하다 싶을 만큼의 장기투자 계획이 아니라면, 오히려 손해를 보기 쉬운 방식입니다.
한마디로, 명확한 장단점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철저한 안전제일주의와 장기투자.
이미 아시겠지만, 아까 말했듯이 저는 이 플랜을 장기투자의 목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또한, 인내심이 좋은 편이고 업다운에 스트레스를 너무 받지 않은 스타일이라서 한번 넣어두고 저에겐 더할 나위 없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 플랜의 성격상 너무 많은 고민이 필요하지 않은 방식이라 위험하지만, 공부를 할수록 저는 참 마음에 드네요 솔직히 :)
하지만, 계속 말씀드리고 여기저기서 많이 들으시겠지만 투자는 전적으로 본인이 공부하고 알아본 후에 결정하는 겁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본인이 모른다면, 더 공부해서 옳다는 결정과 확신을 가지고 투자를 시작하셔야 한다고 믿는 주의입니다.
누가 하는 말에 휘둘려 좋다더라~ 식의 카더라 뉴스를 믿다간 큰 코 다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 놓고 실패하면 그 사람을 비난하기 바쁜 분들을 솔직히 많이 봐서 말입니다.
본인이 자세히 공부하지 않고 투자했을 때 손실이 난다면, 그건 그 방식을 알려준 사람보다 본인을 탓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그렇기에 방식을 찾으셨다면, 꼭 자세히 공부해보시고 본인이랑 맞으면 그때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시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
그럼 오늘은 이 정도로 하고요!
다음에는 좀 더 심화, 혹은 다른 투자 방식에 대한 정보들을 가지고 와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fe of Fire m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어족 효자상품 에어비앤비 (Airbnb) (0) | 2020.05.27 |
---|---|
파이어족 투자 방식 2 : 올웨더 포트폴리오 (Ft. 레이 달리오, 김단테) (0) | 2020.05.26 |
파이어족의 주식 투자 방식 (모멘텀 투자 & 올웨더 포트폴리오) (0) | 2020.05.23 |
미국 파이어족 (FIRE족) 생활 패턴 & 투자 방식 (2) | 2020.05.22 |
새로운 트렌드 미국 FIRE족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5.21 |